공무원 사칭 ‘노쇼(NO-Show) 사기’ 기승…소상공인 대상 피해 급증, 각별한 주의 필요
전국적으로 공무원·군인·경찰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NO-Show) 사기’ 피해가 잇따르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경각심이 요구되고 있다.
노쇼 사기는 대량 주문을 가장해 신뢰를 쌓은 뒤, 다른 업체 물품을 대신 구매하라고 유도해 금전을 편취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다.
노쇼 사기의 구조는 크게 2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피해자가 운영하는 업체에 물품을 주문해 신뢰를 얻고, 이후 “나중에 함께 결제하겠다”는 말을 덧붙여 대리 구매를 요청한다. 진짜 목적은 이 두 번째 단계에서 대리 구매 비용을 편취하는 것이다.
실제 피해 사례도 다양하다. 경산·포항 남구에서는 대구시청 직원을 사칭해 화재감지기 대리 구매를 요청하고 총 3억 2800만 원을 가로챘다.
포항 북구·김천에서는 포항교도소 직원을 사칭해 살균소독기 구매를 요구해 1억 3450만 원을 편취하는 등 경북 전역에서 유사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가해자들은 공공기관의 신뢰도를 악용한다. 실제 기관의 문서 양식을 복제하고, 전화번호·프로필·로고까지 기관처럼 꾸미며, 실제 공무원 이름을 도용하기도 한다.
피해자가 거래 전 확인을 소홀히 하면 진위를 가리기 어렵다.
특히 사기범들은 “기관에서 나중에 지급하겠다”, “결제 내역은 서류로 전달하겠다”고 속이며 송금을 유도하지만,
공공기관은 개인이나 업체에 대리결제·대납을 요청하는 경우가 절대 없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노쇼 사기 예방수칙을 강조한다.
- 비대면 주문·거래는 모두 가짜일 수 있다는 경각심 갖기
- 대량 주문이 들어오면 반드시 해당 공공기관에 직접 유선 확인하기
- 취급하지 않는 물품의 대리 구매 요청은 전형적인 노쇼 사기임을 인지하기
- 선입금 요청 시 무조건 의심하기
경산경찰서는 소상공인연합회와 핫라인을 구축해 112 신고 상황을 실시간 전파하고, 읍·면·동사무소 및 외식업지부와 협업해 홍보 포스터 배포, 맘카페·SNS 홍보, 찾아가는 범죄예방교육 등을 통해 사기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노쇼 사기는 단순 금전 피해를 넘어 어려운 자영업자들에게 큰 상실감을 주는 악질 범죄다.
지역사회 전체가 관심을 갖고 피해 정보를 공유하며 예방수칙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유사 사례를 목격하거나 피해가 의심될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해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