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정보 & 뉴스
자영업자, 소상공인을 위한 
정보 & 뉴스를 알려드립니다.

자영업 정보 & 뉴스

profile_image
자영업나라 · 10시간 전

전국에 번지는 ‘기관 사칭 대납 사기’…올해만 900억 피해 폭증

공공기관과 공무원 명의를 도용한 ‘물품대금 대납 사기’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며 자영업자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접수된 피해는 5,157건, 피해액은 무려 907억 원에 달했다. 특히 월평균 29억 원 수준이던 피해액은
 6월 104억 원으로 폭증한 뒤, 10월에는 170억 원까지 치솟았다.

경북에서 음향장비 업체를 운영하는 구 모 씨(56)는 지난 4월 교도소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에게 속아 대납 결제를 요구받았다.
 명함·공문 위조는 물론 실제 교도소 출입 절차 안내까지 제공해 구 씨는 의심할 틈도 없었다.
 그러나 현장 확인 결과, 해당 기관은 “해당 요청이 전혀 없다”며 사기 사실을 확인했다.

이처럼 사기범들은 인터넷에서 공공기관 정보를 수집한 뒤, 급한 발주인 것처럼 속여 자영업자에게 제3자 계좌로 물품 대금을 대신 입금해달라고 요구한다.
 피해 사례가 퍼지자 공공기관들도 실명 도용 주의보를 잇달아 내고 있다
. 매일경제의 조달청 공지 분석에 따르면 사칭 피해가 확인된 기관은 최소 272곳,
임직원 사칭 주의 공지를 낸 기관은 지난 5월 24곳에서 10월 70곳으로 3배 증가했다.

심지어 대통령실 인근에서는 대통령경호처를 사칭해 고가 와인 대납을 요청한 시도도 있었다.
 최근에는 서울교통공사, 서울시설공단, 부산항만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대형 기관들이 연이어 사칭 피해 경고를 내는 등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배후에는 동남아시아 기반 보이스피싱 조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보이스피싱보다 적은 자본으로 범행이 가능하고,
공공기관이라는 이름을 앞세워 자영업자들을 속이기 쉬운 점을 악용한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발주·결제 요청은 반드시 공식 경로로 재확인해야 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4 0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