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소상공인의 경영 상황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적자 운영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며 향후 3년 안에 은퇴 또는 폐업을 고려하는 비율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기업중앙회 인천지역본부는 22일, 인천 노란우산 가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천 소상공인 은퇴·폐업 준비현황 및 폐업 애로사항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인천 개인사업자 폐업률이 전국 최고 수준이라는 점을 반영해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에는 ‘은퇴·폐업 준비현황’ 161명, ‘폐업 애로사항’ 154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올해 인천 소상공인의 사업운영 상황은 ▲적자 52.2% ▲손익분기 수준 38.5%로 절반 이상이 적자 경영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61.0%)과 제조업(59.1%)의 적자 비율이 높았으며, 서비스업만 상대적으로 순이익 비중이 20.8%로 양호했다.
적자 원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79.8%로 가장 많이 지목됐고, 금융비용 부담이 6.0%로 뒤를 이었다. 향후 3년 업계 전망 또한 어두웠다.
응답자의 72.0%가 ‘침체가 예상된다’고 답했으며, ‘다소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은 6.2%에 그쳤다.
은퇴·폐업 계획과 관련해 응답자의 32.3%는 3년 이내, 9.3%는 3~5년 이내 은퇴·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이들 중 64.3%는 관련 정보를 아직 수집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나 준비 부족이 드러났다. 정보 수집 경로도 유튜브·인터넷(10.7%), 지인·동료(7.1%) 등 비공식 채널이 대부분이었다.
실제 폐업 경험자 조사에서는 정부·지자체의 폐업 지원정책을 활용한 비율이 15.6%에 불과해 정책 인지도와 접근성 개선 필요성도 제기됐다.
활용된 정책은 폐업비용 지원이 79.2%로 가장 높았고, 폐업 절차 컨설팅(20.8%), 재취업 교육·훈련(12.5%) 등이 뒤를 이었다.
황현배 인천중소기업회장은 “인천 소상공인은 경기침체와 비용상승 속에서 경영 불안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폐업 예방을 위한 사전단계 경영컨설팅, 비용 절감, 위기관리 지원과 더불어 폐업 이후 재취업·재창업 연계, 심리·생활안정 지원 등 맞춤형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