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농산물 가격 비교·자영업 컨설팅까지 지원”… 정부, ‘AI 민생 10대 프로젝트’ 본격 추진
정부가 내년부터 농산물 가격 비교, 자영업 경영 컨설팅, 국민 안전 서비스 등 생활 밀접 분야에 AI를 본격 도입하는 ‘AI 민생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24일 열린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이번 계획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소비·보건·안전 관련 공공서비스를 AI 기반으로 신속하게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주요 과제에 향후 2년간 각각 100억 원을 투입해 AI 국세 상담사, 모두의 경찰관, AI 인허가 도우미 등 민생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농산물 가격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정부는 내년 하반기 시범 출시를 목표로 ‘AI 농산물 알뜰 소비정보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이 플랫폼은 판매처별 가격을 AI가 분석해 소비자 위치 기반 최저가 구매처를 추천하고, 가격이 급등한 식재료의 대체품까지 제시한다.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2022년 2.4%에서 지난해 10.4%까지 급등한 가운데 소비자들의 장보기 부담을 줄이는 데 AI 기술이 직접 활용될 전망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AI 경영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된다. AI가 상권과 업종 데이터를 분석해 유망 업종 추천, 제품 구성 제안, 매장 운영 개선 등 창업·경영 전반의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한 식품·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인체 적용 제품의 성분과 안전 정보를 안내하는 ‘AI 안전지킴이’ 서비스가 도입되며, 중소기업은 이전까지 한 달 이상 걸리던 인허가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정부는 내년 식의약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고 2027년 민간과 연계한 모바일 서비스 시범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치안 분야에서는 국민 민원이 가장 많은 경찰 업무에 AI를 도입한 ‘모두의 경찰관’ 서비스가 구축된다. 민원·교통·생활안전 분야 문의에 AI가 즉시 답변하거나 경찰민원24 및 콜센터와 바로 연결해 상담 대기 시간을 줄일 전망이다. 정부는 보이스피싱 피해가 연간 1조 원 이상 발생하는 만큼 AI가 위험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해 부처 간 공유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청소년 보호 분야에서도 AI 활용이 확대된다. X(트위터), 텔레그램, 랜덤채팅 등 SNS에서 가출, 자해·자살, 학교폭력 징후를 AI가 분석해 상담전화 1388 등 보호 서비스와 즉시 연계한다. 모니터링 대상 플랫폼은 현행 10개에서 2026년까지 125개로 대폭 확대되며 위기 청소년 탐지 시스템도 구축된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AI 도입률이 60%를 넘어섰지만 업무 효율 개선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고 지적하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인 국민 체감형 AI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71
댓글 1
댓글목록
브랜드인코·21시간 전
AI 민생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가격 비교, 자영업 컨설팅, 인허가 자동화 등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AI 로직이나 서비스 구조는 초기 단계에서 특허로 보호할 수 있으니, 관련 아이디어나 서비스가 있으시면 편하게 "브랜드인코"로 상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