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8.07 19:21

창업 시 꼭 가입해야 할 보험은?

✅ 창업자 필수 보험 요약표

 보험명

 가입여부

 주요 대상

 설명

 국민건강보험

 의무

 전 자영업자

 지역가입자로 자동 전환됨. 

 사업자등록 후 1~2달 내 고지서 발송

 국민연금

 의무

 만 18세~59세 자영업자

 의무 가입 대상. 월 소득에 따라 보험료 부과

 고용보험(자영업자)

 선택

 창업 1년 이내 자영업자

 자발적 가입만 가능. 실업급여 받으려면

 꼭 1년 이내 신청해야 함

 산재보험(자영업자)

 선택

 음식점·제조업 등 위험 직종

 사고 시 병원비·휴업급여 보장. 연 10만 원 내외로 혜택 큼

 화재보험

 반의무

 건물·시설 보유 시

 임대차계약 시 요구되기도 함. 전기, 가스, 화재 등 보상

 재해보험(소상공인공제)

 선택

 소상공인 누구나

 상해·질병 보장. 납입금은 연말정산 소득공제 가능

 배상책임보험

 업종별 권장

 음식점, 미용실, 유아시설 등

 고객 사고 발생 시 보상 (예: 미끄러짐, 화상 등)

 전기안전공사 보험

 업종별 권장

 전기·기계설비 있는 점포

 누전·화재 사고 예방점검 + 사고 시 책임분산 목적


1️⃣ 국민건강보험 (의무)

- 사업자등록만 하면 자동 가입

- 소득·재산 기준으로 ‘지역가입자’로 보험료 부과됨

- 고정지출이므로 반드시 매월 예산에 반영해야 함

- 종업원 채용 시 4대보험 신고 필요

-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유일한 수단 


​2️⃣ 국민연금 (의무) 

- 노후 준비를 위한 사회보험

- 월 소득에 따라 부과, 지역가입자로 자동 편입

- 납부한 금액은 전액 소득공제 가능

- 추후 폐업해도 일정 납입 기간 유지 시 연금 수령 가능


3️⃣ 고용보험 (선택 가입 / 신청 필수)

- 자영업자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 단, 사업 개시일로부터 1년 이내에만 가입 가능

- 월 평균 1만~2만 원 수준

- 폐업 시 최대 270일간 실업급여 수령 가능


​4️⃣ 산재보험 (자영업자 및 근로자용) 

- 직원이 있을 경우 의무가입

- 본인도 위험직종일 경우 자발적 가입 가능 (예: 주방에서 화상, 식자재 운반 중 허리 부상 등)

- 가입 시 치료비 + 휴업보상금 지급



5️⃣ 화재보험 & 배상책임보험 (실질 필수)

- 점포에 화재·누전·가스사고 발생 시 복구비용 보장
- 고객이 매장에서 다쳤을 경우 보상

6️⃣ 기타 추천 보험
- 소상공인 재해보험: 갑작스러운 질병, 사고, 사망에 대비
- 장기휴업·폐업 보험: 폐업 시 일정 보장금 지급 (중소기업중앙회 공제상품)


❗꼭 기억하세요❗
- 국민건강보험·국민연금은 자동가입 되므로 피할 수 없습니다.
-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1년 이내 가입’이 중요 포인트입니다.
- 화재/배상보험은 선택이지만, 사고 한 번이면 생존 위협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