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
관할 기관
유흥주점, 단란주점
경찰서, 시청
식품제조·가공업
보건소
병원, 의원, 약국
보건복지부, 보건소
동물병원
농림축산검역본부
도축업, 축산물 판매업
축산과, 농림부
✅ 허가 절차
1. 임대차계약 후 사업장 확보
2. 해당 업종의 시설기준 및 위생기준 등 충족
3. 허가 신청서 + 관련서류를 관한 기관에 제출
4. 현장 실사 및 심사
5. 허가증 발급 → 사업자등록 가능
2️⃣ 영업신고란?: 일정 요건을 갖추면 **행정기관에 통보(신고)**만으로 영업이 가능해지는 제도
✅ 주요 특징
- 허가와 달리, 요건만 맞추면 행정기관이 거절할 수 없음
- 시설 기준, 위생 기준 등 충족 시 신고만으로 영업 가능
- 신고 후 바로 사업자등록 가능하며, 관할 기관이 1개월 이내 실사
✅ 대표 신고 업종
관할기관
일반음식점 (식당, 치킨, 고깃집 등)
휴게음식점 (카페, 분식집 등)
편의점, 슈퍼마켓 (식품소매업)
미용실, 네일샵 (공중위생업)
세탁소, 숙박업
✅ 신고 절차
1. 영업장 확보 및 시설 기준 충족
2. 위생교육 수료증 또는 자격증 준비
3. 신고서 + 첨부서류 제출 (보건소 등)
4. 신고증 발급 → 사업자등록 진행
5. 1개월 이내 관할기관 현장 확인
3️⃣ 영업등록이란?: 일정한 시설과 기준을 갖추면, 관할기관에 등록신청만으로 영업이 가능한 제도
- 등록은 허가와 신고의 중간 개념
- 심사는 하되, 요건 충족 시 등록은 거부할 수 없음 (형식적 심사)
- 등록이 완료되어야 사업자등록이 가능
학원, 교습소
교육청
체육시설업 (헬스장, PT샵)
시·군·구청
통신판매업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관할구청
반려동물 미용/호텔/장례업
시청 축산과, 농림부
자동차 정비업, 건설기계 대여업
시·군청, 국토부 산하 기관
✅등록 절차
- 업종에 따른 시설 기준, 면적 기준, 자격 요건 충족
- 관련 서류 + 등록신청서 제출
- 관할 기관의 실사 또는 검토
- 등록증 발급 → 사업자등록 가능
업종별 인허가 사항 확인하는방법
본인이 하려는 업종이 인허가가 별도로 필요한지 알아보려면, 관할 시/군/구청에 문의하든지 홈택스에서 확인하면 됩니다.
1. 홈택스 → 신청/제출 클릭
2. 사업자등록 신청/정정 등 클릭
3. 이용절차안내 (제출서류준비(제출서류유형/업종조회/인허가서류조회) → <인허가 서류조회> 클릭)
4. 업종코드 또는 업종명 입력 → 조회하기
5. 해당하는 업종 선택후 클릭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