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23 19:56

제조업 안전관리 의무, 산업안전보건법 핵심 정리

제조업 사업장은 항상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 보호를 위한 안전관리 의무를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 형사처벌, 심각할 경우 산재 사고 책임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조업 안전관리 의무와 산업안전보건법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제조업 안전관리 의무란?


·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할 의무가 있음


· 안전시설·장비 설치, 유해물질 관리, 근로자 교육 포함


· 사고 예방뿐 아니라, 작업 환경 관리까지 책임


▶ 제조업 사업주는 단순 고용주가 아니라, 안전 책임자입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 핵심 규정


 구분

 주요 내용

 위험성 평가

 근로환경 위험 요인 파악 및 개선 대책 수립

 보호구 지급

 안전모, 장갑, 보호안경 등 지급 및 착용 관리

 산업재해 예방 교육

 신규 채용 시, 정기적으로 안전 교육 실시

 작업환경 측정

 분진, 소음, 화학물질 등 정기 측정·보고

 안전보건관리자 선임

 일정 규모 이상 제조업체는 전담 관리자 필요

 산업재해 보고 의무

 사고 발생 즉시 관할 기관에 보고



▶ 위반 시 과태료뿐 아니라 사업주 형사 책임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제조업 안전관리 위반 시 처벌


· 산업재해 미보고: 1천만 원 이하 과태료


· 위험성 평가 미이행: 500만 원 이하 과태료


· 보호구 미지급: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


· 중대재해 발생: 산업안전보건법 + 중대재해처벌법 동시 적용 → 대표이사 형사처벌 가능


▶ 안전관리 소홀은 단순 행정 문제가 아니라 기업 생존 문제입니다.


4. 소상공인 제조업체가 꼭 지켜야 할 체크리스트


✅ 근로자 채용 시 안전 교육 필수

✅ 매장·공장 내 보호구 지급 및 착용 관리

✅ 유해물질·화학제품 보관·표시 규정 준수

작업환경 측정 정기적 실시

✅ 사고 발생 시 즉시 산업재해 보고


▶ 규모가 작더라도 안전관리 의무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FAQ)


Q. 10인 미만 소규모 제조업도 산업안전보건법이 적용되나요?

▶ 네. 규모와 상관없이 기본 안전 의무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 보호구를 지급했는데 근로자가 착용하지 않으면 사업주 책임인가요?

▶ 네. 사업주는 착용 관리·지도 의무까지 부담합니다.


Q. 산업재해 발생 시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나요?

▶ 즉시 응급 조치 → 산업재해 보고 → 근로복지공단 산재 신청 절차 진행이 필요합니다.


✅ 마무리


제조업 안전관리 의무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법적으로 강제됩니다.


· 위험성 평가 및 정기 교육


· 보호구 지급과 작업환경 측정


· 산업재해 발생 시 즉시 보고


▶ 안전관리는 비용이 아니라 기업의 생존과 근로자의 생명 보호 장치입니다.



#제조업 안전관리 의무 #산업안전보건법 핵심 정리 #소상공인 제조업 안전규정 #산업재해 예방 관리 #제조업 법규 준수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