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실 창업은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고 수요가 꾸준하지만, 철저한 준비와 행정 절차 이행이 필수입니다.
아래는 미용실 창업을 위한 준비부터 인허가 절차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미용실 창업, 준비부터 허가까지 전 과정 정리
1️⃣ 창업 전 준비 단계
구분
내용
자격요건
⬛ 미용사 면허 소지 필수 (국가자격증)
⬛ 공동창업 시 대표자 중 1인은 반드시 면허 보유자
사업계획 수립
⬛ 대상 고객층 선정 (남성/여성/어린이 등)
⬛ 가격대/서비스 차별화 전략
⬛ 예상 수익·지출·손익분기점 계산
상권 분석
⬛ 유동 인구, 아파트 밀집 여부, 경쟁 미용실 수
⬛ 대중교통 접근성, 주차 가능 여부 등 분석
점포 계약
⬛ 임대차계약 전 '용도지역' 및 '업종 가능 여부' 확인
⬛ 건축물대장 확인 (미용실은 근린생활시설 허용 필요)
2️⃣ 시설 및 인테리어 준비
면적 기준
일반적으로 10평(약 33㎡) 이상 권장
시설 기준
⬛ 개수대/세면대, 환풍 시설, 소독기 등 필수
⬛ 이·미용기구 전용 보관장소 확보 필요
인테리어 시 주의점
⬛ 위생 시설 기준을 만족해야 함
⬛ 내부 공사 시 소방·전기 기준 확인 필요
소방설비나 급수시설 등은 보건소 위생검사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 행정 인허가 절차
순서
필요 서류
담당 기관
비고
① 사업자등록
임대차계약서, 신분증 등
세무서
일반과세 또는 간이과세 선택
② 공중위생업 신고 (미용업)
⬛ 사업자등록증
⬛ 미용사 자격증 사본
⬛ 임대차계약서
⬛ 건축물대장
⬛ 위생교육 이수증
관할 보건소
개업 10일 전까지 신고 필수
③ 위생교육 이수
신분증, 자격증
대한미용사회 등 교육기관
연 1회 위생교육 필수
④ 영업 신고증 수령
현장 점검 후 발급
보건소
시설 기준 적합 시 ‘영업신고증’ 발급
❗ 보건소 위생점검은 영업 시작 전 현장 점검 필수입니다. 위반 시 행정처분 또는 영업 정지 가능.
4️⃣ 부가 등록 및 보험 가입
간판 설치 신고
지방자치단체에 옥외광고물 허가 신고 필요
음악 틀 경우
저작권 보호협회에 음악 이용료 신고 필요
영업 배상 책임 보험
고객 상해 사고 등 대비, 자율 가입 권장
근로자 고용 시
4대 보험 가입 의무 (건강/국민연금/고용/산재)
5️⃣ 창업 이후 필수 관리
정기 점검
⬛ 보건소의 위생 점검(정기·수시)
⬛ 위생 교육 연 1회 이상 필수
가격표 게시
서비스 가격표는 벽면 또는 출입문에 부착 의무
고객 관리
예약 시스템, 리뷰 관리, 고객 DB 확보 등 지속적 마케팅 필요
세금 신고
홈택스 부가세/종합소득세 신고 (세무대리인 위탁 가능)
✔️ 체크리스트 요약
단계
체크포인트
✅ 준비
⬜ 미용사 면허
⬜ 사업계획서
⬜ 상권 분석
✅ 점포
⬜ 업종 허용 여부 확인
⬜ 적정 면적·시설
✅ 인허가
⬜ 사업자등록
⬜ 공중위생업 신고
⬜ 위생교육
✅ 사후관리
⬜ 위생점검 준비
⬜ 간판 신고
⬜ 4대보험·세무 준비
▶ 마무리 한마디
미용실 창업은 단순 기술이 아닌 “서비스 비즈니스”입니다.
기술력과 감각뿐 아니라 위생, 경영, 고객관리까지 종합 역량이 중요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