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8.06 15:53

미용실 창업, 준비부터 허가까지

미용실 창업은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고 수요가 꾸준하지만, 철저한 준비와 행정 절차 이행이 필수입니다. 

아래는 미용실 창업을 위한 준비부터 인허가 절차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미용실 창업, 준비부터 허가까지 전 과정 정리

1️⃣ 창업 전 준비 단계

 구분

 내용

 자격요건

 ⬛ 미용사 면허 소지 필수 (국가자격증)

 ⬛ 공동창업 시 대표자 중 1인은 반드시 면허 보유자

 사업계획 수립

 ⬛ 대상 고객층 선정 (남성/여성/어린이 등)

 ⬛ 가격대/서비스 차별화 전략

 ⬛ 예상 수익·지출·손익분기점 계산

 상권 분석

 ⬛ 유동 인구, 아파트 밀집 여부, 경쟁 미용실 수

 ⬛ 대중교통 접근성, 주차 가능 여부 등 분석

 점포 계약

 ⬛ 임대차계약 전 '용도지역' 및 '업종 가능 여부' 확인

 ⬛ 건축물대장 확인 (미용실은 근린생활시설 허용 필요)


2️⃣ 시설 및 인테리어 준비

 구분

 내용

 면적 기준

 일반적으로 10평(약 33㎡) 이상 권장

 시설 기준

 ⬛ 개수대/세면대, 환풍 시설, 소독기 등 필수

 ⬛ 이·미용기구 전용 보관장소 확보 필요

 인테리어 시 주의점

 ⬛ 위생 시설 기준을 만족해야 함

 ⬛ 내부 공사 시 소방·전기 기준 확인 필요


소방설비나 급수시설 등은 보건소 위생검사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 행정 인허가 절차

 순서

 필요 서류

 담당 기관

 비고

 ① 사업자등록

 임대차계약서, 신분증 등

 세무서

 일반과세 또는 간이과세 선택

 ② 공중위생업 신고 (미용업)

 ⬛ 사업자등록증

 ⬛ 미용사 자격증 사본

 ⬛ 임대차계약서

 ⬛ 건축물대장

 ⬛ 위생교육 이수증

 관할 보건소

 개업 10일 전까지 신고 필수

 ③ 위생교육 이수

 신분증, 자격증

 대한미용사회 등 교육기관

 연 1회 위생교육 필수

 ④ 영업 신고증 수령

 현장 점검 후 발급

 보건소

 시설 기준 적합 시 ‘영업신고증’ 발급


❗ 보건소 위생점검은 영업 시작 전 현장 점검 필수입니다. 위반 시 행정처분 또는 영업 정지 가능.


4️⃣ 부가 등록 및 보험 가입

 구분

 내용

 간판 설치 신고

 지방자치단체에 옥외광고물 허가 신고 필요

 음악 틀 경우

 저작권 보호협회에 음악 이용료 신고 필요

 영업 배상 책임 보험

 고객 상해 사고 등 대비, 자율 가입 권장

 근로자 고용 시

 4대 보험 가입 의무 (건강/국민연금/고용/산재)


5️⃣ 창업 이후 필수 관리

 구분

 내용

 정기 점검

 ⬛ 보건소의 위생 점검(정기·수시)

 ⬛ 위생 교육 연 1회 이상 필수

 가격표 게시

 서비스 가격표는 벽면 또는 출입문에 부착 의무

 고객 관리

 예약 시스템, 리뷰 관리, 고객 DB 확보 등 지속적 마케팅 필요

 세금 신고

 홈택스 부가세/종합소득세 신고 (세무대리인 위탁 가능)


✔️ 체크리스트 요약

 단계

 체크포인트

 ✅ 준비

 ⬜ 미용사 면허

 ⬜ 사업계획서

 ⬜ 상권 분석

 ✅ 점포

 ⬜ 업종 허용 여부 확인

 ⬜ 적정 면적·시설

 ✅ 인허가

 ⬜ 사업자등록

 ⬜ 공중위생업 신고

 ⬜ 위생교육

 ✅ 사후관리

 ⬜ 위생점검 준비

 ⬜ 간판 신고

 ⬜ 4대보험·세무 준비


마무리 한마디

미용실 창업은 단순 기술이 아닌 “서비스 비즈니스”입니다.

기술력과 감각뿐 아니라 위생, 경영, 고객관리까지 종합 역량이 중요합니다.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