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전, 새로 뽑은 알바생이 있었는데요. 처음에는 괜찮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무단결근을 하더라고요.
“왜 안 나오냐” 연락도 여러 번 했지만, 답이 없었죠.
솔직히 화도 나고, 당장 사람도 부족한데 바로 해고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주변 사장님들과 상담해보니
“절차 없이 함부로 자르면 오히려 손해배상 청구 같은 문제될 수 있다”는 조언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제가 한 행동
무단결근 기록을 꼼꼼히 남겼습니다. 출근부와 문자 내역, 카톡 메시지 다 보관했어요.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씨, 무단결근으로 인해 업무에 지장이 큽니다. 반드시 연락주시고 앞으로 이런 일이 없도록 해주세요.”
며칠 더 지켜봤고, 결국 연락도 없고 태도 개선도 없었습니다.
서면 경고장도 발송했습니다. 직접 전달하고 내용 증명으로도 보냈어요.
알바생에게 해고 사유를 명확히 알렸습니다.
그 뒤에야 알바생이 연락이 왔지만, 신뢰가 무너진 상태라 결국 해고 통보를 확정했습니다.
알바생 때문에 고민이신 분들께는
“무단결근이나 근무태만은 반드시 기록하고, 경고를 거친 후 신중하게 해고하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일 못한다고 바로 해고 통보를 했다가 노동청에 부당해고 신고가 들어가서 난처해진 사례도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는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침착하게 경고를 준 후 해고 처리를 진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