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위키

2025.07.19 16:37

창업 시 필요한 인허가 서류 총정리

자영업 창업 시 업종에 따라 법적으로 인허가가 필요한 업종이 있습니다. 이를 무시하고 영업할 경우 

영업정지, 과태료,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관련 서류와 허가기관을 확인해야 합니다.


1. 일반음식점 (식당, 고깃집, 분식집 등)
➡️ 인허가 종류: 식품접객업 영업신고
➡️  허가기관: 관할 보건소

필요 서류:
- 임대차계약서 또는 건물 등기부등본
- 영업장 도면 (평면도)
- 위생교육 수료증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등)
- 시설사진 (조리실, 창고, 세면대, 화장실 등)
- 사업자등록증 (또는 신청서)
- 신분증 사본

절차 요약:
1. 임대차계약 후 위생교육 수강
2. 수료증 발급
3. 보건소 방문해 영업신고
4. 시설 확인 → 적합 시 신고필증 발급
5. 사업자등록 후 영업 개시


2. 카페 / 디저트 가게
➡️ 인허가 종류: 식품접객업 영업신고 (휴게음식점)
➡️  허가기관: 관할 보건소

필요 서류
- 일반음식점과 동일
- 조리시설이 없다면 휴게음식점으로 신고 가능
- 배달 위주 판매는 일반음식점으로 등록 추천

3. 포장마차 / 푸드트럭
➡️ 인허가 종류: 식품접객업 영업신고 + 도로점용 허가
➡️  허가기관: 보건소 + 시청/구청

필요 서류
- 차량등록증
- 위생교육 수료증
- 도로점용 허가 신청서
- 조리기구·화재예방장비 증빙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