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폐업 후 주소 정리(변경)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국세청·건보공단·국민연금·카드사 등에서 계속 우편물이 날아오고,이전 사업장 임대인이나 신규 세입자에게 불필요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폐업한 사업장 주소 정리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폐업 후 ‘주소 정리’가 필요한 이유
이유
설명
국세·지방세 고지서 수신
세금 관련 서류가 폐업한 사업장 주소로 발송됨
카드단말기·PG사 청구서
정산 관련 우편물이 여전히 도착
명의도용·사칭 위험
후임자가 내 정보로 물품 주문·결제 요청 등 피해 가능
법적 분쟁 가능성
통지서 수령 불능 시 체납·가산세 발생 위험 있음
✅ 해야 할 주소 정리 5가지
구분
어디서
방법
국세청
홈택스
폐업신고 시 주소도 함께 정리 가능 /
별도 변경 가능
지방세(지자체)
위택스 or 시청
납세지 주소 변경 or 이전 사업장 정리 요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1577-1000 or 지사 방문
자격변동 + 주소변경 신청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1355 or 지사 방문
자격 정리 + 주소변경
카드사·단말기 업체
각사 고객센터
해지 + 주소정리 요청 (보증금 반환용 중요)
✅ 3. 주소 정리 구체적 방법 (기관별)
① 국세청 (홈택스)
| 경로 | 홈택스 > 민원증명 > 사업자등록 정정(폐업 포함) |
| 방법 | 폐업신고와 함께 주소 수정 가능 or 별도로 ‘정정’ 신고 |
| 필요서류 | 공동인증서, 신분증 / 온라인 가능 |
| 주의사항 | 주소 미정정 시 세금 안내문이 기존 사업장에 계속 발송됨
② 지방세 (시청·군청)
| 방법 ① | 위택스 접속 → 납세지 주소 변경 신청 |
| 방법 ② | 관할 시청 세무과에 ‘납세지 변경신고서’ 제출 |
| 필요서류 | 신분증, 폐업사실증명서 (필요 시) |
| 예시 | 재산세, 종합소득세 지방소득세 고지서 주소지 변경
③ 건강보험공단
| 경로 | 1577-1000 고객센터 or 지사 방문 |
| 방법 | 지역가입자 주소 변경 or 피부양자로 전환 시 함께 신청 |
| 서류 | 신분증, 폐업사실증명서, 주소확인 가능한 서류 |
| 주의 | ‘폐업 전 주소’로 보험료 고지서가 계속 발송되므로 주의
④ 국민연금공단
| 경로 | 1355 고객센터 or 국민연금 지사 |
| 방법 | 주소지 변경 + 납부예외 신청 가능 |
| 비고 | 주소가 잘못되면 ‘납부독촉장’이 제3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
⑤ 카드사·단말기·배달앱
| 대상 | 단말기 설치업체, 카드사, PG사, 배달앱(배민·쿠팡이츠 등) |
| 방법 | 고객센터 전화 → 해지 + 주소 변경 요청 |
| 비고 | 보증금 환급, 마지막 정산서 수령을 위해 정확한 주소 필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