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8.08 01:44

폐업 후 세무 신고 누락 피하는 법

자영업자가 폐업을 하더라도 세무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하며, 누락 시 가산세, 불이익, 세무조사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엔 「폐업 후 세무 신고 누락 피하는 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폐업했다고 세금이 자동 종료되는 건 아닙니다

 항목

 설명

 폐업신고 

 하지만 신고는 별도로 해야 함

 신고 시기 놓치면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 납부불성실 가산세까지 발생

 폐업 직후 국세청에서

 사후 세무조사 대상으로도 주시 가능



✅ 폐업 후 꼭 해야 할 세무 신고 2가지

 구분

 설명

 신고기한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폐업일 속한 과세기간(6개월)의 매출·매입 정산

 신고폐업일로부터 25일 이내

 종합소득세 신고

 해당 연도 전체 수입에 대한 소득신고

 다음 해 5월 1일~31일



✅ 부가가치세 신고 실전 가이드

- 폐업 시, 일반 과세자라면 부가세 신고는 꼭 한 번 더 해야 합니다.


신고 대상

- 매출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카드매출

- 매입세금계산서(지출증빙)

- 폐업 시 재고, 비품 처분 내역


유의 사항

 항목

 내용

 폐업일 포함 과세기간 신고

 예: 8월 10일 폐업 → 7월 1일~8월 10일분 신고

 폐업신고일로부터 25일 이내

 늦으면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 부과

 재고·비품도 자산 처분 대상

 잔여 재고, 장비를 매각했다면 과세 대상임



✅ 종합소득세 신고는 이듬해 5월에 폐업연도 전체 수입을 신고해야 하며, 심지어 매출이 없어도 신고 의무는 존재합니다.


신고 누락 피하는 체크리스트 ✅

 항목

  확인

 폐업일 기준 부가세 신고 기한 체크했나요?

 ✅

 홈택스에서 부가세 신고 완료 확인했나요?

 ✅

 세금계산서 발행 이력 정리했나요?

 ✅

 재고, 장비 등 처분 내역 정리했나요?

 ✅

 종합소득세 신고 캘린더에 등록했나요?

 ✅

 국세청 알림톡 or 문자 수신 설정했나요?

 ✅


✅ 꼭 알아야 할 가산세

 항목

 가산세율

 무신고 가산세

 10~20% (납부세액의 기준)

 납부지연 가산세

 1일 0.025%씩 가산

 세금계산서 누락

 2% 이상 가산세 부과 가능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