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8.12 22:40

매출이 늘어도 순이익이 안 오르는 이유

매출이 늘어도 순이익이 안 오르는 건 흔히 **“매출 착시”**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비용 구조가 매출 증가 속도를 따라잡거나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1. 원가(재료비) 비율 상승

 원인

 설명

 할인·이벤트 남발

 매출은 늘었지만 객단가 하락 → 원가 비중 ↑

 원재료 가격 상승

 매출 증가분보다 원가 상승폭이 큼

 불필요한 원재료 발주

 매출 늘었다고 재고 과다 확보 → 폐기 손실


2. 변동비 동반 증가

- 인건비: 매출이 늘면 근무 인원·시간 확대 필요 → 인건비 비중 커짐

- 배달 수수료·결제 수수료: 카드·배달앱 이용이 늘면서 매출에 비례해 증가

- 포장·소모품비: 고객 수가 늘면 포장재, 일회용품 비용도 함께 상승


3. 고정비 증가

- 확장·리뉴얼로 인한 임대료 상승

- 광고·마케팅비 추가 집행

- 시설·장비 렌탈료 증가


4. 마진 구조 자체가 낮은 상품 매출 증가

- 원가율이 높은 메뉴나 상품이 매출 상승분의 대부분 차지

예) 마진 70%짜리 커피보다 마진 30%짜리 디저트 매출이 크게 늘면 총이익률 하락


5. 재무 관리 부실

- 매출 증대에 맞춰 비용 통제·모니터링을 안 함

- 매출 증가 → “돈 잘 버는 착각” → 불필요한 지출(인테리어, 장비, 이벤트) 확대

- 현금흐름이 불안정해 외상·대출 이자 부담 증가


6. 세금 부담 증가

- 과세표준 구간이 올라가면서 세율 인상

- 부가세·종합소득세, 4대보험 사업주 부담금이 매출 증가분보다 빠르게 커짐


7. 해결 전략

1) 메뉴·상품별 원가율 분석 → 마진 높은 상품 판매 비중 늘리기

2) 변동비 통제 → 배달·결제 수수료 협상, 소모품 단가 절감

3) 재고 관리 철저 → 폐기율 목표 설정 (예: 3% 이하)

4) 인건비 효율화 → 시간대별 매출 대비 인력 재배치

5) 광고 ROI 검증 → 매출 대비 순이익 증가에 기여하는 광고만 유지

6) 세금 절감 구조 설계 → 합법적 비용 처리, 간이과세·사업자 구조 조정


자영업나라 한마디

매출 증가가 곧 순이익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원가율·변동비·고정비·세금 중 어디서 새고 있는지 월 단위로 점검해야, 매출이 이익으로 연결됩니다.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