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8.23 19:45

운수업 업종코드 조회 및 등록 가이드

사업자등록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운수업 업종코드입니다.

운수업은 화물, 여객, 택배, 택시, 버스, 물류 운송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확한 업종코드를 알고 사업자등록을 해야 세금 신고나 정책자금 신청 시 불이익이 없습니다.


운수업 업종코드란?


업종코드는 국세청에서 정한 사업자등록 시 업종 분류 기준입니다.


부가세 신고, 종합소득세, 4대보험, 정책자금 지원 여부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운수업은 화물운송업, 여객운송업, 택시·버스·철도·항공, 택배업, 물류업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어 업종코드를 정확히 선택해야 합니다.


2025년 주요 운수업 업종코드 예시


아래는 국세청 분류 기준에 따른 대표적인 운수업 업종코드입니다.


492001 일반 화물자동차 운송업


492002 개별 화물자동차 운송업


492003 용달 화물자동차 운송업


492004 택배업 (소화물 전문 운송업)


493001 시내버스 운송업


493002 시외버스 운송업


493003 전세버스 운송업


493004 택시 운송업


494001 항공 여객운송업


494002 항공 화물운송업


495001 항만 하역 및 물류지원 서비스업


495002 택배·퀵서비스 대행업


※ 위 코드는 예시이며, 실제 사업자등록 시 국세청 홈택스 → 업종코드 조회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운수업 업종코드 조회 방법


국세청 홈택스 접속


상단 메뉴 → 조회/발급 → 업종코드 조회


“운수업” 또는 구체적인 업종명(예: 택배, 화물, 택시) 입력


코드와 함께 표준산업분류표 확인 가능


운수업 업종코드 선택 시 주의사항


실제 사업 내용과 일치하는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부가세 공제 및 정책자금 신청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업종을 잘못 선택하면 가산세나 세무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동일 운수업이라도 규모와 방식(개인, 법인, 차량 수)에 따라 업종코드가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세무사 상담을 권장합니다.


운수업 사업자등록 시 꼭 알아야 할 점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대부분 과세 업종이므로 분기별 신고 의무 있음


정책자금 지원: 운수업 업종코드가 명확해야 소상공인 정책자금, 운송업 지원금, 유가보조금 신청 가능


보험 가입 의무: 자동차보험·화물운송보험·여객운송보험 등 필수 가입


결론: 운수업 업종코드 확인은 필수


운수업은 사업 범위가 넓고 업종코드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처음 사업자등록을 하는 경우 반드시 운수업 업종코드 조회를 통해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화물, 여객, 택배업은 정부 지원사업이나 정책자금과 연결되므로 세무전문가 상담 + 홈택스 조회를 병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지금 바로 국세청 홈택스에서 업종코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세요.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