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장인도 사업자등록이 가능할까?
많은 분들이 “재직 중에도 사업자등록이 가능한가요?”라는 질문을 자주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직장인도 본업을 유지하면서 사업자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몇 가지 주의사항과 세금, 4대보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 재직 중 사업자등록이 가능한 이유
· 법적 제한 없음
근로계약을 맺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세법상 개인은 누구나 사업자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 겸업 가능
다만, 다니고 있는 회사의 취업 규칙·내부 규정에 ‘겸업 금지 조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업종 선택 자유
온라인 쇼핑몰, 블로그 마켓, 프리랜서 용역, 부업 등 다양한 업종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3. 재직 중 사업자등록 시 주의할 점
① 회사 취업 규칙 확인
· 일부 기업은 겸업을 금지하거나 사전 신고가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 이를 위반할 경우 인사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규정을 확인하세요.
② 세금 문제
· 근로소득 + 사업소득이 합산되어 종합소득세가 늘어납니다.
· 일정 소득 이상이면 부가가치세 신고도 의무가 됩니다.
· 연말정산 외에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따로 해야 합니다.
③ 4대보험 영향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이면서 사업소득이 있으면, 일정 소득을 초과할 경우 건강보험 추가 부과가 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직장가입자는 별도로 영향을 받지 않지만, 사업자로만 전환하면 지역가입자가 됩니다.
4. 직장인이 많이 선택하는 사업자등록 업종
· 온라인 쇼핑몰(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 프리랜서·용역 계약(디자인, 개발, 번역, 강의 등)
· 블로그·유튜브 수익 사업
· 소규모 부업형 창업(쿠팡 파트너스, 배달대행 등)
▶ 모두 재직 중에도 사업자등록이 가능한 업종입니다.
5. 재직 중 사업자등록 절차
1. 사업 아이템 선정
2.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를 통해 사업자등록 신청
3. 업종 코드 선택 (예: 온라인 쇼핑몰 → 도·소매업)
4. 사업장 주소 기재 (재택 창업 가능)
5. 사업자등록증 발급 후 부가세 유형 확인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재직 중에도 사업자등록이 가능한가요?
▶ 네, 가능합니다. 다만 회사 규정에 따라 겸업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Q2. 직장인 사업자등록 시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합산되어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소득 규모가 크면 세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Q3. 직장인도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다만 매출 8,000만 원 이상이면 일반과세자로 전환됩니다.
Q4. 회사에 알리지 않고 사업자등록을 해도 되나요?
▶ 법적으로 문제는 없지만, 회사 규정 위반 시 인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재직 중 사업자등록 #직장인 사업자등록 #부업 사업자등록 #사업자등록 절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