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03 14:28

매장에서 음악 틀 때 저작권료 내야 하는 기준 정리

✨ 매장 음악 저작권료, 왜 내야 할까?


카페, 음식점, 미용실 같은 매장에서 음악을 틀면 손님들에게 ‘서비스’의 일부로 제공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단순한 개인 감상이 아닌 공중송신(공중전송권) 이용으로 분류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저작권료(음악사용료)를 내야 합니다.


✨ 저작권료 부과 기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악저작권협회, KOMCA)의 규정에 따라 매장 규모와 업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1. 면적 기준


매장 면적 50㎡(약 15평) 이하 → 면제


매장 면적 50㎡ 초과 → 저작권료 부과


2. 업종 기준


저작권료 징수 대상 업종: 일반음식점, 주점, 카페, 유흥주점, 헬스장, 대형마트 등


징수 제외 업종: 전통시장 소규모 점포, 일부 개인학원 등


3. 사용 형태


라디오·TV 방송을 단순 송출하는 경우에도 일정 기준 이상이면 징수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멜론, 지니, 플로 등)는 개인용 라이선스로, 매장에서는 별도의 상업용 라이선스 필요


✨ 저작권료 금액 (예시)


(2025년 기준, 음악저작권협회 고시)


일반음식점·카페: 월 4,000원 ~ 10,000원 수준 (매장 크기별 차등)


체력단련장(헬스장 등): 월 9,000원 ~ 30,000원 수준


대규모 유흥업소: 월 수십만 원 이상 부과


✨ 저작권료 안 내도 되는 경우


50㎡ 이하 소규모 매장


순수한 개인적 이용 (직원 휴게실 등 고객 미대상 공간)


저작권료가 면제되는 특정 지역·특수 목적 행사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카페에서 유튜브 음악을 틀어도 저작권료 대상인가요?


▶ 네. 유튜브는 개인 시청용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매장에서 상업적으로 틀 경우 저작권료 부과 대상입니다.


Q2. 전통시장에서 작은 가게를 운영 중인데 음악을 틀어도 되나요?


▶ 매장 면적 50㎡ 이하라면 저작권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3. 음악저작권료는 어디에 납부하나요?


▶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또는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SPRA) 등을 통해 신청 및 납부합니다.


✨ 정리


매장에서 음악을 틀 때 면적 50㎡ 이하 소규모 점포는 면제, 그 이상은 업종·규모에 따라 월 정액의 저작권료를 내야 합니다.

사장님들이 불필요한 과태료나 분쟁을 피하려면 반드시 자신의 매장 크기·업종·음악 사용 방식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정식으로 사용료를 납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매장음악저작권료 #저작권료기준 #카페음악저작권 #음악저작권료 #매장저작권료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