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05 17:14

직원 퇴직금, 언제부터 지급해야 하나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사장님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직원 퇴직금 지급 요건입니다.

퇴직금은 직원이 일정 기간 이상 근무했을 때 발생하는 법적 권리이며, 지급 시기를 놓치면 가산금·지연이자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퇴직금 지급 조건, 지급 시기, 계산 방법, 유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1.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하는 조건


✅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합니다.


· 1년 이상 근속: 근로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어야 함


· 주 15시간 이상 근로: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대상에 포함


· 근로계약 형태 무관: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해당


▶ 단,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 1년 미만 근속자는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2. 직원 퇴직금 지급 시기


· 퇴직금은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해야 합니다.


· 불가피하게 늦어지는 경우, 노사 합의가 있을 때만 지급일 연기 가능


· 지연 시 연 20%의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함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제9조)


3.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근속연수 ÷ 1년)


예시) 월 급여 250만 원, 2년 근속


· 1일 평균임금 = 250만 원 ÷ 30일 = 약 83,333원


· 퇴직금 = 83,333원 × 30일 × 2년 = 약 500만 원


▶ 퇴직금은 평균임금 기준이므로, 상여금·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퇴직금 지급 시 유의사항


· 지연 지급 금지: 14일 이내 지급 원칙, 어기면 지연이자 발생


· 계산 기준 확인: 기본급 + 정기적 수당 포함, 식대·교통비 등은 제외 가능


· 중간 정산 금지: 원칙적으로 퇴직 전 중간 정산 불가 (예외 사유 존재)


· 증빙 자료 보관: 급여대장, 근로계약서, 출근기록을 반드시 보관


 체크리스트


 · 직원이 1년 이상 근속했는가?


 ·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는가?


 · 퇴직일 기준 14일 이내 지급했는가?


 · 평균임금 계산을 올바르게 했는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1년 근무하지 않은 직원도 퇴직금이 있나요?

▶ 아니요. 법적으로는 1년 이상 근속자부터 퇴직금 지급 의무가 있습니다.


Q2. 주 3일 근무 직원도 퇴직금이 발생하나요?

▶ 주 15시간 이상이면 발생합니다. (예: 주 3일, 하루 6시간 = 주 18시간 → 퇴직금 대상)


Q3. 퇴직금을 나눠서 지급해도 되나요?

▶ 원칙은 일시불 지급입니다. 분할 지급은 근로자 동의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Q4. 퇴직금 계산 시 포함되는 수당은 무엇인가요?

▶ 기본급, 직책수당, 정기적·고정적 수당은 포함 / 식대·차량유지비 등 실비성 수당은 제외됩니다.


 핵심 정리


✅ 퇴직금 지급 의무: 1년 이상 근속 + 주 15시간 이상 근로


✅ 지급 시기: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연 시 이자 발생)


✅ 계산 공식: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정기적·고정적 수당 포함, 실비성 수당 제외



#직원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 언제부터 지급 #아르바이트 퇴직금 요건 #자영업자 직원 퇴직금 계산 #퇴직금 14일 이내 지급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