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소상공인 사장님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세금 구분입니다.
특히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원천세는 이름도 비슷하고 납부 시기도 달라 자주 헷갈립니다.
세 가지 세금의 차이와 헷갈리지 않고 관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1. 종합소득세(종소세)
· 개념: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임대소득 등)에 대한 세금
· 신고·납부 시기: 매년 5월 (전년도 소득 기준)
· 납부 주체: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근로소득자 모두 대상
· 특징: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올라가는 누진세 구조
▶ 예: 음식점 사장님의 2024년 매출·경비를 정산해 2025년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
2. 부가가치세(부가세)
· 개념: 재화·용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내는 세금
· 신고·납부 시기: 1년에 2회 (확정신고) + 2회 (예정신고)
· 1기(1~6월분): 7월 25일까지
· 2기(7~12월분): 다음 해 1월 25일까지
· 예정신고: 4월, 10월
· 납부 주체: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는 연 1회 신고)
· 특징: 매출세액 – 매입세액 = 납부세액
▶ 예: 카페에서 커피 팔 때 손님이 낸 금액에 포함된 부가세를 모아 세금으로 납부
3. 원천세
· 개념: 직원 급여나 프리랜서 인건비 지급 시 사업자가 대신 떼어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
· 신고·납부 시기: 매월 10일까지 (전월 급여 기준)
· 납부 주체: 고용주(사업자)
· 특징: 급여 지급 시 소득세·지방소득세를 원천 징수 후 납부
▶ 예: 아르바이트생 급여 100만 원 중 세금 3.3%를 떼어 96만7천 원 지급, 3만3천 원은 국세청에 납부
4. 세금 구분 쉽게 기억하는 법
· 종소세 = 1년에 한 번 내 소득 정산
· 부가세 = 매출·매입에 붙는 세금, 1년에 네 번 신고
· 원천세 = 직원 월급에서 떼어 매달 납부
▶ 정리:
· "내 소득" → 종소세
· "판매 금액" → 부가세
· "직원 급여" → 원천세
5. 세금 관리 팁
✅ 세금 달력 작성: 종소세(5월), 부가세(1월·7월), 원천세(매월 10일)
✅ 장부 정리 습관화: 매출·매입·급여 내역 매월 기록
✅ 세무사 상담 활용: 헷갈리면 전문가에게 위임
✅ 홈택스·손택스 활용: 신고·납부 기한 알림 서비스 적극 이용
✨ 체크리스트
· 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신고하고 있는가?
· 부가세는 반기별로 빠짐없이 신고했는가?
· 원천세는 매월 10일까지 직원 급여 세금을 납부했는가?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종소세와 부가세를 동시에 내야 하나요?
▶ 네. 종소세는 소득세, 부가세는 소비세로 별개입니다. 둘 다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Q2.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신고를 얼마나 하나요?
▶ 연 1회(1월)만 신고합니다. 다만 연 매출 8천만 원 이상이면 일반과세자로 전환됩니다.
Q3. 원천세를 안 내면 어떻게 되나요?
▶ 가산세(무신고·납부불성실세)와 더불어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4. 세금이 너무 복잡한데 간단히 정리할 방법 없나요?
▶ "내 소득은 종소세, 고객 매출은 부가세, 직원 급여는 원천세"로 외우면 쉽습니다.
✨ 핵심 정리
✅ 종소세: 내 소득 → 매년 5월 신고
✅ 부가세: 매출·매입 → 반기별 신고 (1월, 7월)
✅ 원천세: 직원 급여 → 매월 10일 납부
✅ 세금 납부일을 놓치면 가산세 발생 → 반드시 기한 관리 필요
#종소세 부가세 원천세 차이 #자영업자 세금 관리 #소상공인 세금 달력 #세금 헷갈리지 않는 법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원천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