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와 프리랜서의 세금 처리 차이는 자영업자뿐만 아니라 아르바이트생, 프리랜서 본인에게도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자영업나라에 올릴 수 있도록 실제 사례 기반 + 표 정리 + 실무 팁 포함하여 최신(2025년 기준) 버전으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 1. 기본 정의 비교
구분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고용형태
근로계약 (근로자)
도급·용역 계약 (사업소득자)
계약서
근로계약서
용역계약서 or 없음
근로기준법 적용
적용
미적용
4대 보험
원칙상 의무
의무 아님 (본인이 가입)
퇴직금
1년 이상 근무 시 지급
없음
휴게시간·주휴수당
✅ 2. 세금 처리 방식
항목
세금공제
소득세 + 4대보험
3.3% 원천징수
소득 세율
6%~45% (연소득 따라)
고정 3.3% (소득세 3% + 주민세 0.3%)
신고 방법
연말정산 (근로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5월, 사업소득)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사업자 등록 시 가능
비용공제
일부 가능 (사업경비 처리)
✅ 3. 자영업자 실무 기준 – 어떤 방식이 유리할까?
상황
추천 방식
이유
일정한 시간에 상시 근무
출퇴근, 지시 따를 경우 근로자성 강함
일시적, 건별, 프로젝트
결과물 중심 업무, 근무시간 자유
아프바이트생 주휴수당 부담 크다
프리랜서 계약 고려
세무상 리스크 감수 필요
인건비 신고 간단히 하고 싶다
3.3% 원천징수 신고만으로 가능
✅ 4. 잘못 고용했을 때 벌어지는 일
프리랜서로 고용했는데, 실제론 알바처럼 일했다면?
→ 근로자로 간주되어 주휴수당·퇴직금·4대보험 등 소급 청구 가능
예시) 출퇴근 시간 정해져 있는데 상시 근무하는 사람이 프리랜서로 되어있다면
- 노동청 신고 시 프리랜서 아닌 근로자로 판정됨
✅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아르바이트생이 3.3%만 떼달라고 해요. 괜찮나요?
→ ❌ 불법입니다.
근로계약 형태라면 4대 보험 + 근로소득세 원칙적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Q2. 프리랜서에게 돈 줄 때 사업자등록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 사업자 등록이 없어도 3.3% 원천징수 후 지급하면 됩니다.
(→ 지급명세서 제출: 매년 3월까지)
Q3. 프리랜서가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추징, 가산세, 신고불이행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자동 자료 불러오기도 가능하므로 꼭 5월에 신고해야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