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위키

2025.07.20 03:04

원가 관리 및 메뉴 수익 분석

2956409a68d007521160ce53af207e52_1752989239_2046.png
 

식당, 카페, 배달 전문점, 푸드트럭 등 외식업 자영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식자재 원가율(=식재료 원가율)입니다.
"가격을 어떻게 책정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사장님들이 많으신데,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원가율입니다.


✅ 1. 원가 관리란 무엇인가?

원가 관리는 메뉴 하나를 만들 때 들어가는 재료비·포장비·인건비 등 직접 비용을 계산하고,

그 비용에 따라 판매가와 마진율을 조절하는 실무입니다.


​✔ 왜 중요할까?

 잘못된 예

  발생 문제

 재료 단가 오르는데도 그대로 팔기

 손해 판매 지속

 배달 수수료 고려 없이 가격 책정

 건당 마이너스 수익

 잘 팔리는 메뉴가 사실상 적자

 팔수록 손해


그래서 매출보다 중요한 게 ‘원가율’입니다.
‘얼마에 팔지’보다, ‘얼마 남는지’를 기준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 2. 원가 계산의 기본 구조 (메뉴 하나의 수익을 계산할 땐 다음 항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항목

 예시

 포함 여부

 재료비 (식자재)

 고기, 채소, 양념 등

 ✔️

 부자재비

 포장 용기, 비닐, 스티커 등

 ✔️

 배달비 or 수수료

 배민, 쿠팡이츠 수수료 등

 ✔️

 인건비 배분

 조리시간 X 시급 비례 계산

 ✔️

 전기/가스/수도 등 간접비용

 평균값으로 분배

 선택

 매장 임대료 등 고정비용

 총 판매량 대비 안분

 선택



✅ 3. 메뉴 원가율 계산 공식


원가율 = (총 원가 ÷ 판매가) × 100


일반적으로 음식점 기준:

 업종

 권장 원가율

 한식/분식

 25~35%

 카페 음료

 15~30%

 주류

 10~20%

 배달 위주 업종

 30~40%


✅ 4. 실제 원가 분석 예시


메뉴: 김치찌개 (판매가 9,000원)


 항목

 내용

 고기 120g

 1,500원

 김치 150g

 800원

 야채/양념

 500원

 육수 원가

 400원

 밥/밑반찬

 1,000원

 일회용 용기

 300원

 배달앱 수수료 (10%)

 900원 

 인건비 배분 (10분 조리 기준)

 1,500원

  총 원가

 6,900원


원가율 = (6,900 ÷ 9,000) × 100 = 76.7% ❌ 매우 높음

이런 메뉴는 포장 시 8,000원 / 매장 한정판매 등 전략이 필요합니다.


✅ 5. 메뉴 수익성 등급 분류법

 등급

 기준

 설명

 A급 메뉴

 원가율 30% 이하 & 잘 팔림

 대표 메뉴로 홍보/광고 적극 활용

 B급 메뉴

 원가율 35~45% & 수요 안정

 서브메뉴 or 세트용 구성

 C급 메뉴

 원가율 50% 이상

 리뉴얼 필요 or 메뉴 삭제 검토


✅ 6. 수익성 개선 실전 전략

(1) 단가 낮추기

- 재료 공급처 변경 또는 대량 계약

- 식자재 공산품화 (예: 생마늘 → 다진마늘)


(2) 포장비 절감

- 박스 단가 비교 → 자사 라벨 부착 후 단가 낮추기

- 종이 대신 친환경 비닐백 혼합 사용


(3) 세트메뉴 구성

- A급 + C급 메뉴 조합으로 C급 회전률 보완

- 예시) “돈까스 + 음료 1,000원 추가” 구성


(4) 고마진 품목 강화

- 사이드 메뉴, 음료, 주류 등은 마진율 70~90% 가능

- 메인 메뉴보다 이익률 높음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