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카페, 배달 전문점, 푸드트럭 등 외식업 자영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식자재 원가율(=식재료 원가율)입니다."가격을 어떻게 책정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사장님들이 많으신데,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원가율입니다.
✅ 1. 원가 관리란 무엇인가?
원가 관리는 메뉴 하나를 만들 때 들어가는 재료비·포장비·인건비 등 직접 비용을 계산하고,
그 비용에 따라 판매가와 마진율을 조절하는 실무입니다.
✔ 왜 중요할까?
잘못된 예
발생 문제
재료 단가 오르는데도 그대로 팔기
손해 판매 지속
배달 수수료 고려 없이 가격 책정
건당 마이너스 수익
잘 팔리는 메뉴가 사실상 적자
팔수록 손해
그래서 매출보다 중요한 게 ‘원가율’입니다. ‘얼마에 팔지’보다, ‘얼마 남는지’를 기준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 2. 원가 계산의 기본 구조 (메뉴 하나의 수익을 계산할 땐 다음 항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항목
예시
포함 여부
재료비 (식자재)
고기, 채소, 양념 등
✔️
부자재비
포장 용기, 비닐, 스티커 등
배달비 or 수수료
배민, 쿠팡이츠 수수료 등
인건비 배분
조리시간 X 시급 비례 계산
전기/가스/수도 등 간접비용
평균값으로 분배
선택
매장 임대료 등 고정비용
총 판매량 대비 안분
✅ 3. 메뉴 원가율 계산 공식
원가율 = (총 원가 ÷ 판매가) × 100
일반적으로 음식점 기준:
업종
권장 원가율
한식/분식
25~35%
카페 음료
15~30%
주류
10~20%
배달 위주 업종
30~40%
✅ 4. 실제 원가 분석 예시
메뉴: 김치찌개 (판매가 9,000원)
내용
고기 120g
1,500원
김치 150g
800원
야채/양념
500원
육수 원가
400원
밥/밑반찬
1,000원
일회용 용기
300원
배달앱 수수료 (10%)
900원
인건비 배분 (10분 조리 기준)
총 원가
6,900원
원가율 = (6,900 ÷ 9,000) × 100 = 76.7% ❌ 매우 높음
이런 메뉴는 포장 시 8,000원 / 매장 한정판매 등 전략이 필요합니다.
✅ 5. 메뉴 수익성 등급 분류법
등급
기준
설명
A급 메뉴
원가율 30% 이하 & 잘 팔림
대표 메뉴로 홍보/광고 적극 활용
B급 메뉴
원가율 35~45% & 수요 안정
서브메뉴 or 세트용 구성
C급 메뉴
원가율 50% 이상
리뉴얼 필요 or 메뉴 삭제 검토
✅ 6. 수익성 개선 실전 전략
(1) 단가 낮추기
- 재료 공급처 변경 또는 대량 계약
- 식자재 공산품화 (예: 생마늘 → 다진마늘)
(2) 포장비 절감
- 박스 단가 비교 → 자사 라벨 부착 후 단가 낮추기
- 종이 대신 친환경 비닐백 혼합 사용
(3) 세트메뉴 구성
- A급 + C급 메뉴 조합으로 C급 회전률 보완
- 예시) “돈까스 + 음료 1,000원 추가” 구성
(4) 고마진 품목 강화
- 사이드 메뉴, 음료, 주류 등은 마진율 70~90% 가능
- 메인 메뉴보다 이익률 높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