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잡화, 식품, 생활용품 등 도소매업 창업은 자영업 창업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진입 장벽이 낮은 업종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사업자등록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니라, 업종 코드 선택, 세무 신고, 상권 분석, 마케팅 전략까지 꼼꼼히 준비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도소매업 창업 절차를 단계별로 총정리했습니다.
1. 도소매업 창업 전 준비
구분
내용
아이템 선정
의류, 식품, 잡화 등 판매 품목 확정
시장 조사
경쟁사 분석, 수요 조사
상권 분석
온라인·오프라인 판매 여부 결정
자본금 계획
초기 투자비, 재고 구입비, 임대료, 인건비 계산
▶ 아이템과 상권 분석이 성공의 절반입니다.
2. 도소매업 창업 절차
1) 사업자등록 신청
· 관할 세무서 또는 정부24 온라인 신청
· 업종 코드: 도소매업(의류 525101, 식품 47211 등 세부코드 선택)
· 필요 서류: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사업장 도면 등
2) 사업장 확보
· 오프라인 매장: 임대차계약 → 인테리어·간판 신고
· 온라인 판매: 스마트스토어·쿠팡·자사몰 등 플랫폼 등록
3) 세금 관련 절차
·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선택
·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
· 카드 단말기, 현금영수증 발급 등록
4) 영업 신고 여부 확인
· 도소매업은 기본적으로 사업자등록만으로 가능
· 단, 식품·의약품·주류 등 일부 품목은 별도 인허가 필요
5) 마케팅·홍보 채널 구축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마켓플레이스, 인스타그램, 블로그 활용
· 오프라인 매장은 전단·간판·현수막 병행
3. 도소매업 창업 비용 구조
항목
평균 비용
임대료
보증금 1천만~5천만, 월세 50만~200만
인테리어
500만~2천만 (규모별 상이)
재고 구입비
최소 500만 이상
홍보비
월 30만~100만
기타 운영비
전기·수도·세금 등
▶ 온라인 전용 창업은 임대료·인테리어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초기 부담이 낮습니다.
4. 도소매업 창업 시 주의사항
· 품목 허가 여부 확인 (식품·의약품은 반드시 추가 인허가 필요)
· 세금 신고 의무 (매출이 적어도 부가세 신고 필요)
· 거래 명세 관리 (거래처 신뢰 확보를 위해 장부·거래명세서 필수)
· 온라인 판매 병행으로 매출 다각화
5. 자주 묻는 질문(FAQ)
Q. 도소매업 창업 시 별도 자격증이 필요한가요?
▶ 일반 도소매업은 자격증 필요 없음. 단,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 일부 품목은 별도 자격증·허가 필요.
Q. 온라인 도소매업만 해도 사업자등록이 필요한가요?
▶ 네. 스마트스토어·쿠팡 입점 시 사업자등록증 필수 제출.
Q. 부가세 신고는 언제 하나요?
▶ 일반과세자는 1년에 2회(1·7월), 간이과세자는 1회(1월) 신고합니다.
✅ 마무리
도소매업 창업은 비교적 진입 장벽이 낮지만, 아이템 선정·세무 신고·영업 신고 여부 확인까지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 사업자등록 + 세무 체계 구축
·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전략
· 품목별 인허가 사항 확인
▶ 꼼꼼히 준비한다면 도소매업 창업은 안정적인 수익 모델이 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