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15 18:23

도소매업 업종코드 선택 가이드

도소매업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바로 업종코드 선택입니다.

사업자등록 시 잘못된 업종코드를 선택하면 세금 신고, 지원 정책, 부가세 과세 유형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소매업 업종코드 선택 가이드와 대표 코드 사례를 정리했습니다.


1. 도소매업 업종코드란?


· 국세청에서 사업자의 업종을 구분하기 위해 부여하는 숫자 코드


· 부가세·종합소득세 신고 기준이 되며, 지원금·정책 자격에도 영향을 줌


· 도매(도매업)와 소매(소매업)를 구분하거나, 품목별로 세부 코드가 나뉨


▶ 정확한 업종코드 선택은 세금 + 행정 처리 + 지원 정책을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2. 도소매업 업종코드 대표 예시


 업종

 업종코드

 설명

 의류 도매·소매

 525101

 의류, 패션잡화 판매

 식품 도매·소매

 47211

 농산물·가공식품 판매

 생활용품 도소매

 525104

 생활 잡화, 주방용품

 전자제품 소매

 525102

 가전제품, 모바일 기기

 온라인 전자상거래

 525108

 인터넷 쇼핑몰, 스마트스토어, 쿠팡


▶ 판매 품목에 맞춰 세부 업종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업종코드 선택 시 주의사항


· 실제 판매 품목과 일치해야 함

→ 예: 식품 판매인데 생활잡화 코드 선택 시 세금 신고 불이익 발생


· 온라인 병행 시 별도 코드 필요

→ 오프라인 매장 + 스마트스토어 판매 → 두 코드 모두 등록 가능


· 지원금·대출 심사에 영향

→ 소상공인 정책자금·청년창업 지원금 신청 시 업종코드로 자격 제한 발생 가능


▶ 따라서 “편한 코드”가 아니라, 실제 영업 품목에 맞는 코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4. 도소매업 업종코드 변경 방법


· 사업자등록 후에도 홈택스(정부24) → 정정신고를 통해 변경 가능


· 필요 서류: 사업자등록증 사본, 업종정정 신청서


· 변경 소요 기간: 약 3~5일


▶ 초기에 잘못 선택했더라도 정정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FAQ)


Q. 여러 품목을 판매할 경우 업종코드를 어떻게 선택하나요?

▶ 주된 매출 품목을 기준으로 선택하고, 부가 업종을 추가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Q. 온라인 판매만 한다면 어떤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하나요?

▶ “전자상거래 소매업(525108)”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Q. 업종코드를 잘못 선택하면 세금에 문제가 생기나요?

▶ 네. 업종별 경비율이 달라 세무 처리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도소매업 창업 시 업종코드는 단순 숫자가 아니라 세금·지원금·행정 처리의 기준이 됩니다.


· 판매 품목에 맞는 정확한 코드 선택


·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시 복수 코드 등록


· 잘못 선택해도 정정 가능


▶ 처음부터 정확한 업종코드를 선택하면 세금 절감 + 행정 편의 + 정책 지원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업종코드 #사업자등록 #창업 절차 #세금 신고 #사업자 업종코드 선택 가이드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