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위키

2025.07.20 17:14

종합소득세 총정리

사장님들이 꼭 알아야 할 종합소득세에 대해 자세히, 실무에 바로 쓸 수 있게 정리해드릴게요.


✅ 종합소득세란?: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

자영업자는 매달 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아니라,1년 동안 사업으로 벌어들인 ‘순소득’에 대해 직접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이름 그대로, 종합(합산) + 소득 + 세금

- 사업소득, 이자소득, 임대소득, 프리랜서 소득 등 전부 포함

✅ 종합소득세 대상자

 구분

 대상

 개인사업자

 음식점, 카페, 미용실 등

 프리랜서

 디자이너,유튜버, 강사, 작가 등 

 임대사업자

 건물·주택을 임대해 수입 발생 시

 기타 소득자

 강연료, 일시적 용역 등

* 단,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은 연말정산으로 대신함.



✅ 과세표준과 세율 계산 : 과세표준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각종 공제


총수입금액: 1년간 매출 (카드, 현금, 배달앱 포함)

필요경비: 원재료비, 임대료, 인건비, 전기세, 광고비 등

공제: 기본공제(1인 150만), 국민연금, 건강보험, 교육비 등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400만원 이하

 6%

 -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15%

 1,260,000원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24%

 5,760,000원

 8,800만원 초과 ~ 1억 5천만원 이하

 35%

 15,440,000원

 1억 5천만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19,940,000원

 3억 원 초과 ~ 5억원 이하

 40%

 25,940,000원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

 42%

 35,940,000원

* 과표가 높을수록 세율이 올라가는 누진 구조

* 소득이 클수록 세금도 가파르게 증가


✅ 신고 및 납부 시기

신고기간: 매년 5월 1일~ 5월 31일 (전년도 소득 기준)

납부기한: 신고와 동시에 납부 또는 분할 납부 가능

중간예납: 11월 중 납부 (전년도 세액이 30만 원 초과 시)

✅ 신고 방법

① 국세청 홈택스 (https://hometax.go.kr)

- [신고/납부] → [종합소득세] → [정기신고]

- 매출 자료는 카드/현금영수증/계산서 기준 자동 조회 가능


② 세무대리인 의뢰

- 일반 음식점 기준 연 20~30만 원 내외 수수료

- 장부기장부터 신고까지 일괄 처리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카드 매출만 있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A. 당연히 해야 합니다. 국세청은 카드사 자료로 매출을 모두 알고 있습니다.

Q2. 신고를 꼭 5월에 해야 하나요?

A. 네, 종합소득세 신고는 법적으로 정해진 의무이며, 미신고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Q3. 세무사 없이 홈택스로 혼자 신고할 수 있나요?

A. 간편장부 대상자라면 가능합니다. 단, 초기엔 전문가 도움을 받아 익히는 것도 추천합니다.

  • 공유링크 복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