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23 17:00

식품제조업 영업허가 절차와 주의사항|창업 전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식품을 직접 제조해 판매하려면 단순히 사업자등록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반드시 식품제조업 영업허가를 받아야 합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식품제조업 영업허가 절차와 주의사항을 정리해 창업자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을 알려드립니다.


1. 식품제조업 영업허가란?


· 식품위생법 제37조에 따른 규정


· 음료, 과자, 제빵, 반찬, 건강기능식품 등 제조·가공 후 판매하는 업종에 해당


· 무허가 제조 시 과태료, 형사처벌, 영업정지까지 가능


▶ 반드시 관할 지자체(시·군·구청) 위생과에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2. 식품제조업 영업허가 절차


 단계

 내용

 1. 사전 상담

 관할 위생과 방문해 허가 요건 확인

 2. 사업자등록

 업종 코드 ‘식품제조업’ 선택

 3. 시설 기준 준비

 제조실·창고·위생설비 등 법적 기준 충족

 4. 영업허가 신청

 신청서 + 구비서류 제출

 5. 현장 실사

 위생·시설·안전 기준 점검

 6. 허가증 발급

 문제 없을 시 영업허가증 교부

 7. 정기 점검

 허가 후에도 위생 점검, HACCP 심사 가능


▶ 보통 2~4주 소요되며, 준비 부족 시 더 지연될 수 있습니다.


3. 필수 구비서류


· 영업허가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제조업소 평면도


· 임대차 계약서(임차 시)


· 위생관리 책임자 자격증 또는 교육 이수증


· 시설·설비 내역서


▶ 지역별로 추가 서류 요구가 있을 수 있으니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4. 시설 기준 주요 요건


· 제조실·창고 분리: 청결 구역과 비청결 구역 구분


· 위생 설비: 손세척대, 환기장치, 방충망, 냉장·냉동 설비


· 안전 관리: 전기·가스 안전, 소화기 비치


· 원재료 관리: 유통기한·보관온도 준수


· 종사자 위생: 위생복·모자 착용, 정기 건강검진


▶ 특히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는 종업원 전원 필수입니다.


5. 창업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


1. 무허가 영업 금지


· 허가 전 생산·판매 적발 시, 영업정지 + 과태료 부과


2. 제품 표시 의무


· 원재료, 유통기한, 알레르기 성분 반드시 기재


3. 위생 점검 대비


· 불시 점검 시 위생 불량 적발 → 영업정지


4. HACCP 인증 고려


· 대형마트·온라인몰 납품 시 필수 조건인 경우 많음


5. 지속 관리


· 허가 후에도 위생교육, 정기 점검, 시설 유지 필수


6. 자주 묻는 질문(FAQ)


Q. 집에서 만든 제품을 온라인으로 팔아도 되나요?

▶ 불가합니다. 반드시 허가 받은 제조업체 시설에서 생산해야 합니다.


Q. 식품제조업과 즉석판매제조가공업 차이는 뭔가요?

▶ 즉석판매는 매장에서 바로 제조·판매(예: 제과점 빵), 식품제조업은 대량 생산·유통 목적입니다.


Q. 허가 받는데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 수수료는 수만 원 수준이지만, 시설·설비 투자 비용이 주요 부담입니다.


✅ 마무리


식품제조업 창업은 반드시 영업허가 절차를 거쳐야 하며, 위생·안전 관리까지 철저해야 합니다.


· 관할 위생과 사전 상담


· 구비서류 및 시설 기준 충족


· 제품 표시·위생 관리 지속 준수


▶ 식품제조업 허가는 단순 절차가 아니라 사업 신뢰와 법적 안전망을 확보하는 첫걸음입니다.



#영업허가 절차 #창업 준비 #허가 서류 #식품위생법 식품제조업 #소상공인 식품제조업 주의사항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