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헷갈려 하는 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 발행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왜 거래 증빙이 중요한가?
1. 세무신고의 기본자료입니다.
→ 부가가치세 환급(매입세액 공제), 종합소득세 비용 인정
2. 세무조사 대비용입니다.
→ 증빙 없으면 매입 누락 간주 → 세금폭탄 + 가산세 부과
정리하면: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카드전표는 자영업자의 생명줄입니다.
✅ 1. 세금계산서란?
- 세금계산서는 사업자끼리 거래할 때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거래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발행 가능한 사람
- 일반과세자만 발행 가능 , 간이과세자는 발행 불가 (다만 세금계산서 ‘수취’는 가능)
✅발행 기간
구분
발행기간
발행 시 유의사항
월말 기준 발행
익월 10일까지
예) 7월 거래 → 8월 10일까지 발행
공급시기 후 10일이내
즉시 거래 시
계약일, 납품일, 대금 지급일 중 빠른 날 기준
지연 발행 시
가산세 발생
매입자도 공제 못 받아 불이익 큼
✅발행 방법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
1. 홈택스 (https://hometax.go.kr) 로그인
2. 전자세금계산서 > 세금계산서 작성
3. 공급자(나) & 공급받는자 정보 입력
4. 품목·금액·부가세 입력
5. 미리보기 → 발행 → 상대방에게 자동 전송
* 거래일 다음 달 10일까지 발행해야 유효함.
✅세금계산서 발행 시 주의사항
- 반드시 사업자 간 거래여야 함
- 면세사업자에게는 발행 불가- 현금 영수증과 중복 발행 금지- 허위·가공 발행 시 엄청난 가산세와 형사처벌- 공급가액 10만 원 이상 현금거래 시 거래명세서도 첨부 권장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세금계산서 늦게 발행했어요
A. 10일 이후 발행 → 지연가산세 1% 부과
Q2. 잘못 발행했어요
A. 홈택스에서 “취소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Q3. 일반 소비자가 요청하면요?
A. 현금영수증 발행 또는 간이영수증으로 대체
Q4. 부가세 포함인지 모를 때?
A. 계약·견적서 기준 확인 필수! 통상 포함으로 간주
✅ 세금계산서 vs 계산서 vs 영수증 비교
세금계산서
계산서
일반영수증
발행 대상
과세사업자 ↔ 과세사업자
면세사업자 거래
누구나
부가세 포함
있음 (10%)
없음 ❌
전자발행 의무
있음
매입세액공제
가능
불가능 ❌
불가능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