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 위키지식
자영업, 혼자 하지 마세요.
자영업나라는 언제나 사장님 옆에 있습니다!

자영업위키

2025.09.25 16:51

초과근로 제한 52시간제, 소규모 사업장 적용 여부|자영업자 필수 확인

주52시간제(초과근로 제한 제도)는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 이제 대부분의 사업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규모 사업장(5인 미만, 30인 미만)에서는 적용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자영업자와 근로자 모두 혼란이 많습니다.

52시간제의 개념과 소규모 사업장 적용 여부를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주52시간제란?


·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제50조


· 근로시간: 1주 최대 40시간 + 연장근로 12시간 = 총 52시간 한도


· 이를 초과해 근무시키면 사업주는 법 위반 → 형사처벌 또는 과태료 부과 가능


▶ 즉, 근로자 과로 방지와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제도입니다.


2. 52시간제 적용 범위


 사업장 규모

 시행 시기

 비고

 300인 이상

 2018년 7월

 조기 적용

 50~299인

 2020년 1월

 단계 확대

 5~49인

 2021년 7월

 최종 적용

 5인

 미만 적용 제외

 근로기준법 일부 규정 제외


▶ 따라서 5인 이상 사업장부터 52시간제가 적용되며, 5인 미만 사업장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3. 5인 미만 사업장의 현실


· 5인 미만 사업장은 법적으로 주52시간제 의무 없음


· 그러나 장시간 근로 시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커지고, 분쟁 발생 시 근로자 보호 원칙이 우선 적용될 수 있음


· 최근 노동 정책 흐름상, 장기적으로 5인 미만 사업장에도 확대 가능성 존재


▶ 법적 의무가 없더라도, 실무적으로는 주52시간 기준을 지키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소규모 사업주 유의사항


✅ 근로계약서에 근로시간·휴게시간 반드시 명시


✅ 주휴일(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1일 유급휴일) 의무는 5인 미만도 적용


✅ 장시간 근로 시 산재 위험·노무 분쟁 가능성 고려


✅ 직원 만족도와 장기 근속을 위해 52시간 내 근무 설계 권장


5. 자주 묻는 질문(FAQ)


Q. 우리 매장이 직원 3명인데, 주52시간제를 꼭 지켜야 하나요?

▶ 법적 강제는 없지만, 권장 사항이며 분쟁 예방을 위해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Q. 5인 미만이라도 주휴수당은 지급해야 하나요?

▶ 네. 주15시간 이상 근무자는 반드시 주휴수당을 받아야 합니다.


Q. 주52시간제를 위반하면 어떤 처벌을 받나요?

▶ 5인 이상 사업장은 위반 시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 주52시간제는 5인 이상 사업장부터 의무 적용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은 적용 제외지만, 근로시간 관리와 주휴수당은 여전히 필수입니다.


· 자영업자·소상공인이라면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직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근로시간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법적으로 안 걸린다”보다, 안정적 인사 관리가 장기적으로 사업에 더 큰 이익을 줍니다.



#52시간제 적용 범위 #초과근로 제한 제도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소규모 사업장 주52시간제 #자영업자 근로시간 관리

  • 공유링크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