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위키

2025.07.19 02:30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비교

✅ 간이과세자란?

소규모 영세사업자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만든 제도입니다.

주요특징:
- 연 매출 8,000만 원 이하인 개인사업자 대상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능
- 부가세 신고 연 1회
매출의 일정 비율만 세금으로 납부 (실제 부담 ↓)
매입세액 공제 불가능 


✅ 일반과세자란?

일반적인 부가세 과세 체계에 따라 세금을 내는 사업자입니다.

주요특징:
연 매출 8,000만 원 초과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일반과세자
희망 시 매출이 적어도 일반과세자 선택 가능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B2B 거래 필수)
- 부가세 신고 연 2회 (1월, 7월)
매입세액 공제 가능 (부가세 환급도 가능)



✅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핵심 비교표


  구분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적용대상

 연 매출 8,000만 원 이하

 연 매출 8,000만 원 초과 (또는 희망 시 자격 선택)

 세금신고주기

 연 1회 (1월)

 연 2회 (1월,7월)

 부가세 납부 방식

 매출의 일정 비율만 납부 (세금계산서X)

 매출세액-매입세액= 납부세액

 세금 계산서 발행

 발행 불가능

 발행 필수(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매입세액 공제

 불가

 가능 (비용처리 유리)

 세금부담

 상대적으로 낮음

 상대적으로 큼 (단, 공제 가능)

 정부 지원금

 일부 제한 (세금계산서 필요 시 불리)

 신청 시 유리

 사업 초기 추천 여부

 매출 적고 초기 비용 적은 업종

 매출 규모 크거나 세금계산서 주고 받는 업종



참고사항

- 간이과세자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일반과세자와 동일

- 일반과세자로 전환하면 향후 3년간 다시 간이과세자로 변경 불가

- 간이과세자는 정부지원금이나 정책자금 신청에 불리


  • 공유링크 복사
  • 이전글자영업위키 공지사항2025.07.19
  • 다음글종합소득세 신고 절차2025.07.19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